FRESNO 한인 연합감리교회 FRESNO KOREAN UNITED METHODIST CHURCH
  • HOME
  • 오시는길
  • 예배안내
  • 주일설교
  • 사역과 비전

Word & Message

Pastor GYU HYUN KIM's perspective
TO PASTOR

 광복 70주년 

8/8/2015

Comments

 

  우리 민족에게 지울수 없는 역사적 기억인 일제강점기는 쉽게 잊혀지질 않습니다. 공식적인 일제 강점기는 35년간이었지만, 내정간섭을 시작한 1905년에 체결된 을사늑약 이후의 시간을 합치면 40년간의 일제강점기를 보낸샘입니다. 1945년 8월15일 일본이 2차세계대전에서 패망하면, 우리에게 찾아온 광복은 기쁨이고 감격이었을 것입니다. 하지만, 잃어버렸던 나라를 다시 세우는 것은 쉽지 않은 여정이었습니다. 40여년의 시간은 그리 짧지 않은 시간이었고, 독립투쟁을 위해 너무 먼곳에서 삶의 절반은 보낸 사람들과 일제감정기에 몸으로 나라안에 살고 있던 사람들이 기대와 관점이 서로 달랐습니다. 하지만, 이런 복잡함속에서, 독립운동을 위해 생명을 다하고, 나를 세우기 위해 최선을 다한 사람들이 있었습니다. 우리가 잘아는 어떤 인물, 특정한 사람이 아닌, 이름이 드러나지 않은, 그저 자신의 삶의자리에서 묵묵히 나라의 독립을 그리고 새로 세워질 조국을 위해 헌신한 사람들을 우리는 기억해야 합니다. 

    초기 이민교회 기독교인들, 힘든 노동으로 번돈을 독립자금에 사용하도록 기부하고, 태극기를 손수 만들고, 국기계양식과 미국내에 한국군인을 개설한 초기 미국 이민교회의 기독교인들, 미국땅의 한인의 삶을 개척했던 이들입니다. 이곳 후레즈노의 가까운 곳, 리들리에 우리가 잘아는 한인들의 묘지가 있습니다. 리들리에 살았던 한인들은 농장 노동자들 이었고. 하와이 노동이민을 통해 미국땅에 들어온 한인들이었습니다. 처음 한인노동자들은 대부분 내리감리교회 출신이었고, 하와이 노동이민계약이 만료된 후에 샌프란시스코를 통해 미국 본토로 이주했습니다. 마찬가지로 이 한인들이 했던 것은 농장노동이었고, 리들리가 바로 이런 한인노동자들을 필요로한 곳 이었습니다. 이곳에 모인 한인 노동자들은 하와이, 샌프란시스코, 리들리, LA를 연결하는 국민회를 결성하고, 하나된 독립운동에 매진하게 되는데. 나름 효과적인 독립운동을 위해 최선을 다합니다.  

   샌프란시코에서 발행되었던 신한민보에는 매번 독립자금을 후원한 한인들의 이름이 기록되어 있고, 사소한 한인들의 소식을 전하는데 노력했다. 이승만, 안창호 이런 민족지도자들이 미국을 방문했을 때, 아낌없이 후원했을뿐만 아니라, 독립을 앞당기기 위해 비행학교를 만들고 비행훈련을 받았다. 

   광복 70주년 기념, 시간은 흐르고, 일제강점기를 살았던 이들이 하나둘 떠나고 있는 지금, 어쩌면 먼 옛날의 기억속에 남겨질 광복, 하지만, 보물을 찾듯, 신중하게 꼼꼼히 뒤져야할 중요한 기억이 있습니다. 그것은 바로 우리 같은 기독교인들이 생명을 다해, 힘을 다해 독립을 위해 헌신했다는 기억입니다. 우리가 지금 지니고 있는 신앙은 초기 한인 이민자들이 지닌 신앙과 다르지 않습니다. 초기 한인이민 기독교인들이 보여준 에너지 또한 지금 우리가 지닌 에너지와 다르지 않습니다. 기독교인인 우리들에게 익숙한 것은 기억하는 것입니다. 하나님의 은혜를 기억하며 살아가는 우리들이 초기 기독교인들이 헌신했던 것을 기억해는 것은 어려운 것이 아닙니다. 그런 에너지와 헌신으로 이 땅을 살아가기를 소망합니다. 

Comments
Fresno Korean United Methodist Church    
Physical Address: 1726 Pollasky Ave, Clovis, CA 93612-2640
Rev. Jinsik Lee, Pastor  ​
Church Email: fresnokumc7@gmail.com
Pastor Phone: (707)694-2558
© COPYRIGHT  FKUMC 2015. ALL RIGHTS RESERVED. 
Picture
  • HOME
  • 오시는길
  • 예배안내
  • 주일설교
  • 사역과 비전